728x90 반응형 Computer Science/시스템 프로그래밍7 Shell 사용법(foreground/background) 프로세스 : 가상 메모리 및 물리 메모리 정보, 시스템 리소스 관련 정보, 스케줄링 단위 foreground process : 쉘에서 해당 프로세스 실행을 명령한 후, 해당 프로세스 수행 종료까지 사용자가 다른 입력을 하지 못하는 프로세스 * ctrl + c : 프로세스 작업 취소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인터럽트가 해당 프로세스에 보내짐) background process : 사용자 입력과 상관없이 실행되는 프로세스(쉘에서 해당 프로세스 실행시, 맨 뒤에 &를 붙여줌) [ps] daemon process : 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관리를 위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보통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된다 2023. 4. 3. Shell 사용법(리다이렉션과 파이프) Standard Stream(표준 입출력) : command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세 가지 스트림을 갖고 있음 * 표준 입력 스트림(standard input stream) : stdin * 표준 출력 스트림(standard output stream) : stdout * 오류 출력 스트림(standard error stream) : stderr Redirection(>, >, 2023. 4. 3. Shell 사용법(다중 사용자, 파일 및 권한 관리) Shell 종류 - Bourne-Again Shell(bash) :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됨. 리눅스는 거의 디폴트 - Bourne Shell(sh) - C Shell (csh) - Korn Shell (ksh) :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UNIX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 - whoami : ubuntu - passwd : - useradd : 사용자 기본 설정을 자동으로 하지 않음 - adduser : 사용자 기본 설정을 자동으로 함 - sudo 명령어 :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root권한이 필요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 ls : 모든 파일 - ls - al : 숨김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 파일 및 권한 관리 - pwd : 현재 dire.. 2023. 1. 30. [AWS] FreeTrier, client에서 EC2(서버) 접속하기 다운로드가 되어있는 key를 한 폴더로 옮긴 뒤, 해당 폴더에서 아래 작업을 진행해준다.(윈도우에서는 chmod를 지원하지 않기때문에 다음 작업을 했을 때 아래와 같은 warning이 발생한다.) 윈도우가 아니라면 ? terminal에서 key를 저장한 folder로 이동 후 "chmod 400 firstkey.pem"입력 윈도우라면? cmd에서 아래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 icacls.exe firstkey.pem /reset icacls.exe firstkey.pem /grant:r %username%:(R) icacls.exe firstkey.pem /inheritance:r @뒤에 입력할 IPv4주소를 사용하여 이전에 받은 key가 저장된 directory로 terminal에서 아래와 같이 주소를 .. 2022. 9. 11. [AWS] FreeTrier, 탄력적IP 생성하기 왼쪽 bar에서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을 클릭하면 할당과 함께 주소를 알려준다. 이전에 만든 Instance에 이 주소를 붙여주자. 인스턴스 연결해준 뒤, 연결! 2022. 9. 11. [AWS] FreeTrier로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 Free Trier로 진행한다. 계정을 생성하면서 이메일 확인, 카드정보 입력, 문자/전화로 확인을 하면 가입이 완료된다. 아래 작업을 수행해보자 [ 클라우드 컴퓨팅 설정 ] - EC2 또는 인스턴스(서버) 생성 - Elastic IP(탄력적 IP) 생성 - IP주소, 동적IP, 고정IP - 자기 PC(Client)에서 EC2(서버) 접속 1. 서버 위치 설정 2. EC2 클릭 3. 인스턴스(주황 버튼) 시작 클릭 4. 아래와 같이 설정 후 나머지는 default로 사용 완료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2022. 9. 11. Linux/Unix 운영체제 overview LINUX는 서버에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도 많이 사용된다.(AWS) LINUX는 프로그래밍을 할 때에도 많이 사용된다. GNU 프로젝트와 GNU Hurd - 운영체제 커널 개발 시도 ( GNU Hurd ) - 운영체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컴파일러, 에디터, 쉘 개발 But! GNU Hurd의 개발 지연과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커널 소스를 오픈하면서 두 가지가 통합되어 개발되기 시작함. 2022. 9.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