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 보기164

[Git] worktree 사용하기 특정 솔루션을 여러 site별로 / 연도별로 나누어 관리하고자 했다.각 worktree마다 생성하는 project가 상이하고 많았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repository 접근을 위해 나누었다.  우선 main branch에서 사용하는 폴더에서 git bash에 git worktree add 를 입력한다.이 때 branch는 미리 생성해둬야하고 branch에 commit 하나는 있어야한다.  ex ) main solution명이 xlv라서 path를 xlv.2023으로 잡으면 폴더 내에 생긴다. git GUI에서 worktree로 설정된 branch이동은 불가능하고 repository를 worktree 레벨에서 설정할 수 있다.철저히 분리되어있어서 실수할 여지가 줄어든다! worktree를 삭제할.. 2024. 7. 18.
다형성 유형 직렬화(Serialize Polymorphic Types) 공식문서를 옮기며 학습한 내용입니다. (.NET 8)  1. 파생 클래스의 속성 직렬화.NET 7부터 System.Text.Json특성 주석을 사용한 다형성 유형 계층 직렬화 및 역직렬화를 지원함. Base class와 파생 class 하나씩 정의한다. (Base class에 정의한 attribute는 링크 참조)[JsonDerivedType(typeof(WeatherForecastWithCity))]public class WeatherForecastBase{ public DateTimeOffset Date { get; set; } public int TemperatureCelsius { get; set; } public string? Summary { get; set; }} public.. 2024. 6. 27.
항해 플러스 백엔드 후기 (Typescript) 배경- Data 관련 업무 중 백엔드에 관심이 생겨 직무를 전향하며 현업에서 개발을 배움 ( 컴공 x )- 프론트, 백엔드 할 것 없이 개발이 즐거워서 업무를 하다보니 ( 2년동안 기획, 로그 분석 등 기타 업무도 많이함.. ) 한 가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 같은 느낌에 놓치고 있는 것과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했다- 현도메인에서 마스터 하고싶은게 뚜렷하고 서비스 관련 회사로 이직에는 큰 관심이 없으나 개발자로서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회사는 넘 바빠서 교육이나 개인의 커리어에는 관심이 없다보니ㅠㅠ 스스로 살 길을 찾아나서 거액!! 을 주고 듣게됨    다른 부트캠프들도 많고 비교도 해봤지만 학습 과정이 개인과 회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솔찌키,,!!!!!!!!이 목차.. 2024. 5. 28.
[Git] Github Actions + Test Coverage (jest) 현재 테스트 커버리지는 아직 많이 남아있는 test case로 인해 현저히 낮은 상태이다..ㅎ  git workflow에서 build, lint 등등이 성공하더라도test coverage threshold보다 낮으면 fail을 내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설정을 추가하였다.(이외에도 1, 2 방법들이 있는 듯) - package.json "scripts": { ... "test": "jest", "test:watch": "jest --watch", "test:cov": "jest --coverage", ... },"coverageThreshold": { "./src/": { "statements": 50, "branches": 50, ".. 2024. 4. 26.
[Git] Github Actions CI 적용&Test devel, main에서 각각의 workflow를 따를 예정인데 이를 github actions를 통해 진행해보고자 한다.feature branch에서 개발이 끝나고 devel로 PR이 생성될 때 또는 devel branch로 push가 일어났을 때자동으로 테스트를 해주도록 다음을 작성하였다.  .github/workflows/ci.yml               name: devel workflow    CI 테스트를 위해서 test branch(feature)에서 devel branch로 pr을 생성했다. 무언가 열심히 체크하고성공 -!    Pull requests의 목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Actions에서 어떤 branch에서 어떤 work.. 2024. 4. 24.
Docker (nestjs, postgresql, pgadmin) nestjs 서버를 구축한 상태에서 docker container에 올려보자. 1 ) Docker 설치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Docker Desktop: The #1 Containerization Tool for Developers | Docker Docker Desktop is collaborative containerization software for developers. Get started and download Docker Desktop today on Mac, Windows, or Linux. www.docker.com - 시스템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미리 이것저것 업뎃ㅎㅏ기- 2 ) 프로젝트 최상단에 Dockerfile 생성 .. 2024. 4. 23.
CI/CD 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같은 branch에서 작업을 할 때 - merge 시, 코드 상 충돌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작업하는 경우 - 코드 상 충돌이 없더라도 기능 테스트 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 등등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팀의 규모가 커지면서 수동으로 push -> merge -> 충돌 해결 -> test 를 진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동화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CD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 Continuous Deliver, 지속적 제공 ) 배포는 최종 사용자에게 sw를 전달하는 것으로, 지속적 배포는 작업이 끝날 때마다 자동으로 production 환경으로 배포.. 2024. 4. 22.
TDD(Test Driven Development)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 및 구현한다. Red 단계에서는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다. Green 단계에서는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 위한 실제 코드를 작성한다. Blue 단계에서는 중복 코드 제거, 일반화 등의 리팩토링을 수행한다. [일반적] 보통의 개발 방식은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배포'의 형태의 개발 주기를 갖는데 이러한 방식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느리게 하는 잠재적 위험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처음부터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완벽한 설계는 어렵다. 자체 버그 검출 능력 저하 또는 소스코드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자체 .. 2024. 3. 4.
nesetjs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4.
Bit 연산 num1 int num1 = 15;int result1 = num1  bit 열15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111130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1111060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111100120 : 00000000 00000000 00000000 01111000​  반대의 경우 >>num1 >> num2 : num1의 비트 열을 num2칸 씩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2024. 1. 3.
728x90
반응형